전체 글 2856

|컬럼| 65. 룰루랄라

룰루랄라 수년 전부터 ‘룰루랄라’라는 우리말 유행어를 들어왔는데 노래가 저절로 튀어나올 정도로 즐거운 마음을 뜻하는 말로 짐작된다. 인터넷 사전에 이 말은 나와있지 않다. 그 정도의 세월을 견디어 낸 속어라면 우리말 사전의 최첨단을 달리는 네이버나 엠파스 사전에 지금쯤 떡 올라와 있을 줄로 알았지. 그런데 구글 검색 결과로는 자그마치 백십오만 몇 개의 목록이 뜬다. 아직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한 룰루랄라는 이제 개인 블록 명칭은 물론 노래방, 게임방, 식당, 서점, 쇼핑몰의 이름에 이르기까지 두루두루 쓰이는 아주 친숙한 단어가 됐다. 영어로 ‘lulu(룰루)’는 1886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슬랭인데 ‘훌륭하고 뛰어난 사람’, 특히 미모가 빼어난 여자를 뜻한다. 그리고 ‘lala(랄라)’는 1980년대에..

|컬럼| 64. 굵고 짧거나, 가늘고 길게

굵고 짧거나, 가늘고 길게 1900년부터 쓰인 ‘top dog’라는 슬랭을 ‘꼭대기 개’라고 직역을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도대체 뭐라 해야 좋을지 몰라 고민하다가 결국 ‘대빵’이라 해야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빵은 네이버 국어사전에 ‘가장 큰 것을 뜻하는 경상도 사투리’라 나와있지만 누구나 알아듣는 우리말 속어다. ‘top’은 사람 머리의 머리칼이 다발(tuft) 모양이라는 데서 꼭대기라는 뜻이 됐다. 그러니까 ‘top’은 ‘tuft’에서 유래된 단어다.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 자칫하면 날아가기 쉬운 ‘부분가발’을 ‘toupee’라 하는데 역시 ‘tuft’를 뜻하는 고대불어에서 나온 말이다. 보스턴의 ‘Tufts University’도 자기네들이 최고라는 암시를 주는 대학 이름이다. 대빵의 ‘대’는 아..

|컬럼| 63. 정신병이 달(月)에서 온다더니

정신병이 달(月)에서 온다더니 ‘He is a lunatic’이라는 표현은 시쳇말로 어떤 사람이 ‘뿅갔다’는 뜻. 사람이 머리가 팽! 도는 순간 옆 사람이 잘 들으면 ‘뿅!’ 하는 소리가 귀에 들리는 모양이다. 양키들은 13세기경부터 사람이 미치는 것이 달 때문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위의 표현은 한 사람의 정신상태가 달 모습이 바뀌듯 계속 변덕을 부린다는 뜻에서 비롯됐고 ‘lunatic’이 노골적으로 ‘미친 사람’이라는 의미로 변한 것은 1377년 고대 불어에서였다. 달이 바닷물을 밀고 당겨서 밀물과 썰물이 지금 이 순간에도 해변을 휩쓸고 있다는 사실을 당신은 알고 있겠지. 사람 몸 혈액의 소금 농도도 바닷물의 소금 농도와 같다. 저 거대한 바다를 뒤흔드는 달과 지구의 애틋한 견인력이 나와 당신의 ..

|컬럼| 62. 대화는 사랑의 씨앗

우리는 말을 혀로 한다. 'language(언어)'는 라틴어로 혀라는 뜻의 'lingua'에서 유래했다. 당신이 좋아하는 이탈리아 음식 중에 국수에 조개 소스를 가미한 링귀니(linguini: 작은 혀)도 국수가 혀처럼 납작해 보인다 해서 생긴 말이다 이중언어를 'bilingual'이라 한다. 이것은 즉 두 개의 혀를 갖고 다니다가 적재적소에 합당한 언어를 사용한다는 의미. 그런데 슬랭으로 'speak with a forked tongue'은 뱀처럼 갈라진 혀로 하는 일구이언(一口二言)이라는 뜻이다. 머리가 명석한 당신은 두 개의 혀와 갈라진 혀를 혼동하면 안 될지어다. 'speak'는 본디 무엇을 흩뿌리거나 퍼트린다는 의미로서 'spray'나 'sprinkle'과 말뿌리를 같이한다. 연설을 한다는 것은..

|컬럼| 61. 이긴다는 것은

'victory'는 전쟁에서 남의 나라를 쳐들어가 그 땅을 정복한다는 의미의 14세기 라틴어 'vincere'에서 왔다. 'win'도 승리한다는 말. 얼른 들으면 같은 뜻처럼 들리는 'victory'와 'win'은 알고 보니 전혀 다른 어원에서 왔다. 전쟁에 승리했을 때는 'victory'라 하고 올림픽 경기에서 이겼을 때는 'win'이라 하지. 정복하기와 이기기는 그 뉘앙스가 다름을 당신은 부디 명심할지어다. 'win’은 고대영어로 'winnan'이었는데 본디 뜻은 '노력하다; 애쓰다; 일하다; 싸우다'였다. 경기나 시합에서 이긴다는 의미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862년경. 이긴다는 것은 애쓰고 노력하고 자신과 싸우는 고독한 작업이다. 상대방의 실수를 학수고대하는 그런 야비한 경쟁심의 발로가 절대로 아..

|컬럼| 60. 신(神)과 귀신

신(神)과 귀신 요새처럼 찜통 더위에 귀신에 대한 얘기를 해서 당신의 등골을 서늘하게 해 주리라. 소름이 오싹오싹 끼치게는 못한다 치더라도. 혼, 영혼, 정령, 혹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ghost'가 있지. 카톨릭교의 성부, 성자, 성신에서 성신을 'Holy Ghost'라 한다. 비슷한 발음의 고대 범어로 'ghoist'는 흥분하거나, 놀라거나, 무서워한다는 의미였고 우리말의 '귀신'에도 거의 같은 뜻이 함축돼 있다. 사람의 감정 중에 가장 신비스러운 감정은 역시 공포심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 같다. '신(神: God)'은 옥편에 '귀신 신'으로 나와있다. 물론 신도 귀신도 둘 다 한자다. 그래도 우리에게 신보다는 귀신이 더 흔하게 쓰이고 친근감이 있는 말이다. 최근 한국에서 유행하는 '오 마이 갓!'을..

|컬럼| 59. 일본인들의 곤조

일본인들의 곤조  집에서 편하게 입는 헐거운 옷, 남자의 느슨한 잠옷이나 여자의 긴 원피스를 뜻하는 'robe'라는 단어를 당신은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말이 1275년경에 고대 불어와 독일어에서 '전리품'이라는 뜻이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robe'는 워낙 전쟁에서 이긴 병사들이 빼앗아 입은 적국 사람들의 옷을 의미했다. 전리품의 다른 말로는 'loot; booty, spoil' 등등이 있다.  이중에서 'booty'는 1920년경부터 흑인 속어로 여자의 성기를 뜻했는데,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른 나라를 침략하면 병졸들이 그곳 여자들을 겁탈하는 인간의 비열한 습속이 언어에 반영된 것으로 보아 마땅하다. 'robe'와 'rob(강탈하다), robber(강도), robbery(강도질)'이 ..

|컬럼| 58. 바보 천치

바보 천치 바보 혹은 천치를 의미하는 영어의 ‘idiot’는 14세기경 희랍어로 ’idiotes’라 했는데 ‘평민’ 혹은 ‘개인적인(private)’ 사람이라는 뜻이었다. 당시에 공직에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대우를 받았고, 사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차별을 받았다. 우리의 선조들도 국록을 받는 양반과 개인 영업을 하는 상인들을 다른 눈으로 보았다. 고대불어에서 ‘idiote’는 교육을 받지 못한 무식한 사람이라는 뜻이었다. 라틴어에서도 ‘idiota’는 프로페셔널이 아닌 갑남을녀를 지칭했다. 그러나 17세기 말에 ‘idioma’라는 단어가 파생됐는데 관용어나 숙어라는 뜻이었다. 현대어로 ‘idiom’이라 한다.  공인과 개인을 차별하는 사고방식이 아직도 군대에서는 엄연히 존재한다. 계급이 높은 장..

|詩| 벌거숭이

벌거숭이 키가 큰 형만이 나와 맞먹는 영만이내 동생 황일이 눈이 뚜렷한 은주 나룻배 두 나룻배가 일렁인다노란색 강물 술렁이는 memory눈살을 찌푸리며 잦아드는 생생한 물 냄새 바람 속 memory 입때껏 어리둥절한 우리 詩作 노트:9살 때 영만이네 가족과 뚝섬에 갔다. 얼떨결수영복이 없어서 빤스바람으로 사진을 찍었네. ⓒ 서 량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