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62

|컬럼| 22. 까만 안경

까만 안경 까마득한 옛날에 원시인들은 동굴에서 살면서 밤을 무서워했다. 깜깜한 밤이면 육식동물들이 굴에 들어와 그들을 물어뜯거나 잡아먹기도 했으리라. 눈부신 한낮에 푸른 들판을 뛰어다니던 원시인들은 어둠이 마냥 싫었다. 그래서 그들은 검정색을 꺼려했다. ‘black’은 나쁜 뜻 투성이다. black sheep (말썽꾸러기), blackout (필름이 끊긴 상태), blackmail (협박), black market (암시장), black eye (맞아서 꺼먼 눈 자위) 따위가 좋은 예다. 14세기 중반에 유럽을 휩쓴 흑사병(黑死病)도 ‘Black Death’라 했다. ‘black widow (검정 과부?)’는 암거미가 성교가 한 후 수거미를 잡아 먹은 후 즉석에서 ‘과부’가 되는 무시무시한 흑거미의 자태..

|컬럼| 21. 원효(元曉)의 입맛

원효(元曉)의 입맛 ‘sugar’는 기원전 300여년 전에 알렉산더 대왕이 인도를 쳐들어 갔을 때 병정들이 ‘벌이 없이 만든 꿀 (honey without bees)’이라 불렀던 산스크릿어(범어)의 ‘sharkara’에서 유래된 단어다. 이태리의 말코 폴로가 국수를 중국에서 가져갔듯이 유럽인들은 설탕을 인도에서 가져간 것이다. 인간이 감지하는 다섯 가지의 기본 맛은  단맛, 쓴맛, 신맛, 짠맛, 매운맛이다. 이 중에서 우리가 제일 좋아하는 맛은 물론 단맛. 비근한 예로 ‘honeymoon’, 꿀 밀자에 달 월자를 붙여 쓴 ‘밀월(蜜月)’여행이 있다.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 즉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교훈이 담긴 ‘고진감래(苦盡甘來)’라는 격언도 단맛에 역점을 둔다. 1350년경부터 쓰기 시작한 ..

|컬럼| 20. 맞아야 하나 때려야 하나

맞아야 하나 때려야 하나 상대방의 말에 동의할 때 양키들은 약속이나 한 듯 ‘Right!’라고 외친다. 누구도 ‘Left!’ 하지 않는다. 올바른 길은 늘 오른쪽 길이라는 언어습관이 흥미롭지 않은가. 정치용어로 우익, 좌익 하는 것도 오른쪽 왼쪽을 연상시킨다. 인간은 왼손보다 오른손을 사용하는 것이 생물학적으로 더 이롭다는 학설이 있다. 심장이 가슴 왼쪽으로 약간 치우쳐서 위치하기 때문에 우리가 통상 오른손을 사용함으로써 심장을 외적(外敵)으로부터 조금이라도 멀리 있게 한다는 이론이다. 왼손잡이가 왼손을 휘두르며 하는 칼싸움은 자기 심장이 상대방의 칼끝에 가까운 만큼 위험부담이 클 것이다. 어릴 적에 왼손으로 숟갈질을 하다가 할머니에게 야단맞던 기억이 난다.  우리는 상대의 말에 동의할 때 ‘맞습니다!’..

|컬럼| 19. 우리집 옆집 도둑괭이가

우리집 옆집 도둑괭이가 영어 슬랭에 고양이가 자주 나온다. 우리말 속어에는 ‘여우'가 더러 등장하지만 고양이는 별로 언급되지 않는다. 간단하게 대충 물만 찍어 바르는 세수를 ‘고양이 세수'라고 하는 정도가 고작이다.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다’라는 뜻으로 ‘There's more than one way to skin a cat (고양이 껍질을 벗기는 방법이 하나 둘이 아니다.)’라는 속어가 있다. 양키들이 예상 외로 시치미를 뚝 따고 쓰는 표현인데 그 때마다 말하는 사람의 안색을 잘 살펴보면 고양이의 야들야들한 살갗을 벗기는 따위의 피비린내 나는 장면이 떠오르기도 한다. 고양이가 들어가는 영어 속담을 조사해 보자. ‘Curiosity killed the cat (호기심이 고양이를 죽였다...

|컬럼| 18. 주인과 손님

호텔(hotel), 병원(hospital), 주인(host), 적개심(hostility), 또는 볼모(인질: hostage)의 말 뿌리가 동일하다는 사실을 당신은 이미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hospital'에서 파생된 'hospitality'는 '융숭한 대접'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어떻게 이 경건한 말 속에 '적개심'이라는 의미가 숨어있다는 말인가. 고대 라틴어 'host'는 '다수'와 '적'이라는 뜻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소수에게 다수는 항상 적이었다. 'host'는 낯선 사람 외국인을 뜻하는 'hostis'가 오랜 세월이 흐른 후 저절로 짧아진 단어이다. 그러니까 다수뿐만 아니라 타인이나 외국인도 적으로 취급했다는 이론이 성립된다.   어른들의 잠재의식을 대변하는 어린애들 말에도 내편은 '우리 ..

|컬럼| 17. 붙고 떨어지기

붙고 떨어지기 ‘붙다’는 국어사전에 1.서로 마주 닿다 2.의지하다 3.불이 옮아 타기 시작하다 4.밀접히 교제하다 5.(속어)암수가 서로 교미하다, 등등으로 나와 있다. ‘붙다’는 자동사고 ‘붙이다’는 타동사다. 같은 뜻으로는 영어에 'stick’이 있다. 이를테면 1912년부터 쓰이기 시작한 슬랭 표현 ‘Stick around!’는 어디 가지 말고 그 자리에 ‘붙어 있으라’는 뜻이다. ‘stick together’는 서로 의지하고 돕는다는 의미다. 이 관용어는 위에 열거한 뜻 중에서 5번이 암시하는 성적(性的)인 뉘앙스가 전혀 없는 말이다. 이렇게 영어와 우리말은 뉘앙스가 엄청나게 다를 때가 종종 있다. 이를테면, 제법 미남으로 생긴 당신이 어느 날 옆집에 사는 한국여자를 찾아가서 ‘우리 붙읍시다!’..

|컬럼| 16. 아픔과 정열의 차이

‘아프다’는 사전에 ‘고통(苦痛)스럽다’로 나와있고 옥편에는 고(苦)는 ‘쓸 고’ 또는 ‘괴로울 고’로 풀이돼 있다. 좀 우기자면 ‘아프다’와 ‘괴롭다’는 같은 뜻이다. 전자가 육체적이고 후자는 정신적이라고 분별할 수 있겠지만 육체와 정신은 늘 상통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그놈이 그놈이라고 봐도 무방하리라. 고대 라틴어로 ‘passus’는 ‘고통’이라는 뜻이었는데, 바로 이 말에서 ‘passion (정열)’이라는 단어가 태어났다. 정열은 아픔에서 생긴다. 정열은 괴로움이면서 그 맛이 쓰다.  희랍어에서도 ‘pathos’는 고통이라는 뜻이었는데 이 말은 스펠링 하나 변하지 않은 채 지금껏 현대영어에 ‘비애’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pathos’에서 ‘pathology (병리학)’이라는 의학용어마저 파생됐..

|컬럼| 485. Die Hard

Die Hard 좌절감을 이기지 못해서 습관적으로 손목이며 팔에 칼로 상처를 내는 버릇이 있는 환자에게 그녀의 자해행동은 우울증 증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한다.  “Old habits die hard, 오래된 버릇은 버리기 힘들어요,”라고 그녀가 응답한다. ‘세 살 때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보다 더 빨리 귀에 들어오는 표현이다. 브루스 윌리스가 열연한 액션 스릴러, ‘Die Hard’(1988)가 우리 고유의 격언보다 훨씬 더 호소력이 있구나. 셰익스피어의 5막 1장. 햄릿은 그의 현명한 친구 호레이쇼와 어깨를 나란히, 30년 동안 같은 일에 종사했다는 교회 묘지기와 대화를 나눈다. 주야장천 삽으로 묘지를 파고 해골들을 접하는 일을 어찌 그리 콧노래를 부르며 할 수 있냐고 햄릿이 학구적인..

|컬럼| 15. 당신이라는 인칭대명사

네이버 사전은 ‘당신(當身)’이라는 단어를 다음과 같이 풀이한다.  1. 듣는 이를 가리키는 이인칭 대명사. ‘하오’할 자리에 쓴다. 2.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3. 맞서 싸울 때 상대편을 낮잡아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4. ‘자기’를 아주 높여 이르는 말.  ‘어머니 살아 생전에 당신께서…’ 의 '당신'은 4번 용법으로 제 3자를 지칭한다. 그러나 나머지 셋은 모두 이인칭 용법으로 의미상 서로 대단한 이질감을 풍기고 있다. ‘당신도 성공할 수 있다’라는 책 제목에서 ‘당신’은 1번에 해당한다. 차분하고 공식적인 어법이다. 2번에서처럼 여보, 당신 하는 말투는 부부간의 다정한 호칭이다.  그러나 비라도 추적추적 내리는 어느날 길거리에서 중년 남자들이 시비가 붙었을 때 한쪽이..

|컬럼| 14. 악마와 샛별

고대 유럽의 켈트(Celt)족이 쓰던 달력은 10월 말에 한 해가 끝났다. 기원전 500년경 당시의 미신에 따르면, 그들의 연말인 10월 말일은 모든 떠돌이 귀신들이 이듬해에 기거할 사람 몸을 점령하기 위하여 날뛰는 날로서 죽은 영혼들과 산 영혼들이 뒤범벅이 되는 시간이었다.  그래서 귀신에게 씌우지 않기 위해 사람들은 10월 31에 동네방네 떼지어 쏘다니며 소란을 피우고 귀신 쫓는 행사를 벌렸다. 그 날을 이름하여 ‘핼로윈데이(Halloween day)’라 했는데 어원학적으로는 ‘모든 성현의 날’(All-Saints Day)’이라는 뜻이다. 이열치열의 원칙 대로 귀신을 쫓는 방법은 자기 스스로 귀신 짓을 하는 것이다. 요사이에도 핼로윈데이에 귀신이나 악마 복장을 입은 아이들이 남의 집 문을 두드리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