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39

|컬럼| 57. 늑대 사랑

고대영어로 'love'를 'lufu'라 했는데 예나 지금이나 '사랑'은 누구나 얼른 쉽게 알아듣는 말이다. 처음에 동사로 쓰이다가 '애인'이라는 명사의 뜻이 생긴 것은 1225년. '성교하다'라는 의미의 'make love'는 1580년경에 은유적으로 쓰이기 시작했고 아주 노골적인 용법으로 대두된 것은 미국영어에서 1950년대부터다. 우리말 사전에 '사랑'은 1.남녀가 서로 끌려서 좋아함; 2.남을 돕고 이해함; 3.사물을 소중하게 아낌; 4.부모 자식간이나 위 아래 사람들이 서로 귀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대별하고 있다. 이것은 마치도 고대 희랍인들이 사랑을 1.색정(eros); 2.호의(agape); 3.좋아함(phileo); 4.부모자식간의 유대감(stergo)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별하던 사고방식이나..

|잡담| 우연인지 필연인지 인연인지

불교적인 사고방식이 우리의 생각이며 언어습관을 많이 지배하는 것이 틀림이 없어. 불교에 12인연법이 있는 거 알지. 12연기설(緣起說)이라고도 해요. 좀 고리타분하지만 당신 내 얘기 좀 들어 볼래? 하여간 -- 1.무명(無明); 2.행(行)>, 3.식(識); 4.명색(名色); 5.육입(六入); 6.촉(觸); 7.수(受); 8.애(愛); 9.취(取); 10.유(有); 11.생(生); 12.노사(老死) -- 이렇게 열 두 개인데 그 뜻은 당신이 알아도 좋고 몰라도 좋아.유식박식한 불교학자들이 뭐라 할지 모르지만 혹시 당신이 관심이 있으면 말이지별로 크게 어렵지도 않은 위의 한자 의미를 곰곰히 생각해 보면 뜻이 떠 오를 수 있어.아이구~ 참, 불교교리에 저항심이나 반감을 품은 기독교인들은 어떡하냐구?히히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