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907

|컬럼| 137. 죽부인과 섹스 토이

죽부인과 섹스 토이 ...어깨와 다리를 안온하게 펴고 기대면/ 내 이불 속으로 정답게 들어오네/ 비록 다소곳이 남편 밥상 시중은 들지 못하지만/ 다행히도 방안의 내 몸을 독차지하네... 고려 시대 시인 이규보(1168~1241)의 시「죽부인(竹夫人)」 일부를 번안해 보았다. 죽부인이란 손가락 정도 너비의 대나무를 얼기설기 엮어 원통 모양으로 만든 옛 침구를 일컫는다. 그것은 요사이처럼 무더운 여름 밤에 품고 자면 몸에 통풍이 잘 되어 잠이 잘 왔던 관계로 남정네들이 즐겨 쓰던 피서도구. 죽부인은 영어로 'bamboo wife'라 하지 않고 'Dutch wife'라 한다. 'Dutch wife'는 워낙 옛날 네덜란드 상인들이 인도네시아를 드나들며 그곳에 현지처를 두었던 관습에서 생겨난 말이었지만 현대에는 ..

|컬럼| 136. 새빨간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지난 5월에 맨해튼 호텔 여종업원 강간 혐의로 전 IMF 수석 도미니크 스트라우스-칸이 체포됐던 뉴스는 큰 충격이었다. 요사이 그 종업원의 행실이 대단히 수상했다는 사실과 그녀가 일을 치른 후 돈을 받지 못해서 그를 성추행으로 고소했다는 주장이 다시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법정은 그녀가 진술한 많은 거짓말을 대서특필했다. '거짓말'은 '거죽(겉: 表皮)말'이 변한 단어라고 우리말 고어사전은 풀이한다. 속 생각을 감추고 거죽으로 하는 겉치레 말이 즉 거짓말인 것이다. 호랑이는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거짓말을 남긴다 하면 심한 소리일까. 그 호텔의 잡역부가 법원에서 한 거짓말은 위증(僞證)이라 한다. '거짓 위(僞)'는 '사람 인'변에 '할 위'로 이루어진 문자다. 이쯤 해서 우리가 하는 거짓말..

|컬럼| 135. 아, 아 잊으랴

아, 아 잊으랴 엊그제가 육이오 기념일이었다. 그날은 종일 박두진 작사, 김동진 작곡의 '육이오 노래'가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240만 명의 양민들이 학살당하고 150만 명 가까운 군인들이 전사한 육이오를 세계는 지금껏 'Forgotten War', '잊혀진 전쟁'이라 불러왔고 최근에 이 명칭을 바꾸자는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한다. 'forget'은 고대영어로 'forgietan'이라 했고 무엇을 놓치거나 놓아버린다는 의미였다. 현대 영어로 'drop the ball', 하면 실수를 하거나 무슨 일을 잡친다는 뜻인데 'forget'은 그런 상황이 머리 속에서 일어났다는 사연이다. 기억을 놓치는 것은 쑥스러운 일이지만 야구장에서 공을 놓친다면 그건 씻을 수 없는 실수다. 'memory'는 전인도유럽어의 ..

|컬럼| 134. 두 사람이 서로 마주했을 때

두 사람이 서로 마주했을 때 영어에 'dis'로 시작되는 단어가 부지기수로 많다는 사실에 당신은 얼른 동의할 것이다. disappear: 사라지다, disaster: 재난, disappoint: 실망하다, disbelief: 불신, disease: 질병, disorder: 혼란, disagree: 의견을 달리하다, displeasure: 불쾌, dishonest: 부정직한, disrespect: 결례 등등, 예를 들자면 끝이 없다. 'disease'는 'dis'와 'ease'가 합쳐진 복합어로서 '쉽지 않다' 는 뜻이다. 우리말로도 어르신이 건강이 좋지 않을 때 몸이 '편찮으시다'고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몸이 의학적으로 수월하지 못하거나 편치 않은 상태가 곧 병이다. '아프다'의 옛말은 '알프다..

|컬럼| 133. 노래 값

노래 값 노래와 놀이와 노름은 다같이 '놀다(play)'에서 파생된 말이다. '노래'는 '바둑아 바둑아 이리와 나하고 놀자'던 옛날 국정 국어교과서의 그 '놀자'와 말뿌리가 같다. 'play'는 'playboy'라는 단어에서 뭇 여성들의 정숙한 눈살을 찌푸리게 하지만 'play the piano'에서처럼 악기를 연주한다는 예술적인 의미로도 응당 쓰인다. 'play'라는 개념이 스포츠 정신에 입각한 공놀이에서 '연극'이라는 예술 장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인류의 의식을 지배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건대 우리는 모두 일하기보다는 놀기를 좋아하는 천성을 타고 난 것 같다. 당신도 아마 기억할 것이다. 어릴 적 당신이 양지 바른 뒤뜰에서 심취했던 소꿉장난과 신랑각시 놀이를. 'sing'은 어떤 소리나 말을..

|컬럼| 495. Bad Fish in 3 Days

Bad Fish in 3 Days ‘3일 지난 나쁜 생선’이라는 영어 슬랭이 귓전을 때린다. 논리의 비약이 일어난다. 처음 얼떨결에 매력적이던 사람의 언행이 3번쯤 반복되면서 식상해진다. 식언(飾言, 거짓으로 꾸며 하는 말)을 밥 먹듯이 하는 나쁜 사람에게서 오래 된 생선 냄새가 난다는 상상에 사로잡힌다. 이 험담은 고대 로마시대 극작가 ‘Plautus’가 원조로 손꼽힌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 “The guest is like fish: after 3 days it stinks.” (손님은 생선처럼 3일이 지나면 고약한 냄새가 난다.) 현대에 이르러 벤자민 프랭클린이 이 격언을 약간 수정했고, 요즘은 다섯 단어의 짧은 경구로 통한다. 신선한 생선이건 반가운 손님이건 3일이 지나면 호감의 신선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