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된 詩

|詩| 꽃에 관한 최근 소식

서 량 2022. 3. 11. 20:40

 

눈에 불을 켜고 당신이
꽃을 면밀히 조사하는 동안
꽃 내장이 뭉그러지고
꽃 뼈가 으깨지고
꽃은 무색 무취의 기체가 된다

꽃은 항상 이름 없는 동작이다
당신이 한 송이의 꽃을 알려 할 때
당신이 한 송이의 꽃이 되려 할 때
꽃의 근엄한 칭호가 당신을 방해한다
우리는 묵묵한 꽃말 골갱이를 씹어 삼키고
너덜너덜한 말(言) 껍데기를 뱉어낸다
꽃말을 먹을 때마다 꽃이 되는 우리들
꽃보다 더 새빨간 몸짓으로
으스스 진저리를 치는 우리들

꽃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작이다

 

© 서 량 2004.03.04

<시문학> 2004년 5월호에 게재

 

『시문학』2004년 6월호에서 (페이지 177-182)
이달의 문제작: <감성 안에서, 감성을 넘어 – 2> 중에서
-- 안수환
(시인)

 

 의미의 해체. 시적 진실의 존재론적인 자기파괴. 시는 ‘의미’가 아닌 ‘사건’이라는 점을 극명하게 드러낸 작품이다. 언어체계의 기의망을 벗어난 시인의 발화. 서량의 시세계가 보여 주는 것: ‘꽃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작이다’. 그렇다. 의미의 대칭은 의미의 ‘상실’이 아닌, 의미의 ‘극복’이며, 그런 점에서 시인은 자신의 명상이 깊으면 깊을수록 깨끗한 침묵을 통해 언어의 허물을 벗기려고 하는 것이다. 이 때의 침묵을 우리는 ‘절대 의미’, 즉 ‘절대 공간’이라고 달리 불러보기로 하자. 절대 공간에서 (그것을 ‘1’로 볼 때) 어떤 요소를 빼버리면 이곳에 남는 부분은 어떤 요소의 대칭 (1-a=a’)이 있게 된다. 즉, 다른 의미가 발생한다. 어떤 요소 (a)와는 또 다른 요소 (a’)의 출현(1-a=a’). 의미와 의미의 대칭, 그것이 의미의 한계인 것이다. 의미는 아무러하고 아무러해도 좋다. 시적 감응의 진동은 결코 의미의 표상에선 오는 법이 없다. 그것은 시인의 발화를 통한 사물 (이 작품의 경우에는 ‘꽃’)과의 접촉, 즉 ‘발화-청취’의 역학적인 관계로부터 온다. 의미에 갇힐 수 없는 까닭. 시는, 그러므로 낱말의 의미가 해체된 뒤 도둑처럼 찾아오는 문맥을 붙들고 속삭인다. ‘말의 껍데기’(의미)가 아닌 말의 살점(사건)을 붙들고 몸을 떤다. 그것이 우리의 삶이었던 것.

 

시작 노트:
18년 전에 쓴 시. 자기가 한 말을 자기가 책임지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세월이 흐르면서 내 생각과 느낌이 변해서 그런 게 아니다. 사람은 특히 시인들은 대체로 지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면서 잘난척 지꺼리거나 고운척 속삭인다. 이 시는 시라기보다 하나의 논문이거나 성명서 같은 느낌이 든다. 무슨 수작인지 모르겠다. 그러나 조금은 알고 있다. 이것이 성명서가 아니라는 것쯤은. "의미는 아무러하고 아무러해도 좋다," 라고 말하는 안수환 시인의 의중을. 2022.03.12

 

'발표된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 간장에 비친 얼굴  (0) 2022.03.20
|詩| 지독한 에코  (0) 2022.03.19
|詩| 표범무늬 블레이크  (0) 2022.01.15
|詩| 새벽 비  (0) 2021.10.25
|詩| 하늘로 뜨는 유람선  (0) 2021.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