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녀 4

|컬럼| 57. 늑대사랑 인간의 사랑

늑대사랑 인간의 사랑 고대영어로 ‘love’를 ‘lufu’라 했는데 예나 지금이나 ‘사랑’은 누구나 얼른 쉽게 알아듣는 말이다. 처음에 동사로 쓰이다가 ‘애인’이라는 명사의 뜻이 생긴 것은 1225년. ‘성교하다’라는 의미의 ‘make love’는 1580년경에 은유적으로 쓰이기 시작했고 아주 노골적인 용법으로 대두된 것은 미국영어에서 1950년대부터다. 우리말 사전에 ‘사랑’은 1.남녀가 서로 끌려서 좋아함 2.남을 돕고 이해함 3.사물을 소중하게 아낌 4.부모 자식간이나 위 아래 사람들이 서로 귀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대별하고 있다. 이것은 마치도 고대 희랍인들이 사랑을 1.색정(eros) 2.호의(agape) 3.좋아함(phileo) 4.부모자식 간의 유대감(stergo)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별하던..

|컬럼| 342. 사랑을 할까, 생각을 할까

분노 조절을 남들처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라이언은 눈이 가을 하늘같이 짙푸른 30 중반의 백인 남자다. 민감한 발육 시기를 고아원에서 보낸 그는 걸핏하면 남과 싸우거나 말썽을 부리면서 오랜 세월을 정신병원에서 살아온 성격장애 환자다. 병동 직원들 거의 모두가 그를 싫어하는 눈치지만 나는 두뇌가 총명한 그를 좀 좋아하는 편이다. 세션이 끝나면 자꾸 “I love you, Doctor!” 하는 그에게 나는 으레 “Don’t love me. Think about what I said!” 한다. 그는 아직 왜 내가 그런 반응을 보이는지 깊이 생각해 볼만큼 심리상담에 대한 관심이 없다. 라이언은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면서 자랐다는 이유로 지금 부모 역할을 해주는 정신과의사에게서 긍정적인 관심을 받고 싶어서 안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