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하다는 말이 한자어인 줄 알았다. 아니다. ‘익熟’은 순수 우리말과 한자의 혼성어다. (熟: 익을 숙)
‘익다’는 열매, 씨가 여물거나, 고기, 채소, 곡식 따위의 날것이 뜨거운 열을 받아 그 성질과 맛이 달라지거나, 김치, 술, 장 따위가 맛이 든다는 뜻이라 사전은 풀이한다. ‘익숙’은 해변가, 처갓집처럼 같은 뜻을 두 번씩이나 반복하는 낱말이다.
‘익다’에는 ‘자주 경험하여 서투르지 않다’, ‘여러 번 겪어 설지 않다’는 뜻이 있다. 충분히 익지 않은 상태를 ‘설익다’라 하고 낯설다는 말은 다른 사람의 낯이 익숙하지 않다는 의미. ‘설다’도 순수 우리말로서 ‘익다’의 반대말. ‘설날’은 새로운 해의 첫날이 낯설은 날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위키백과는 해명한다. 설날은 설익은 날. 해묵은 날이 아닌 새날이다.
성숙과 숙성은 전혀 다른 말이다. 성숙은 ‘생물의 발육이 완전히 이루어짐, 몸과 마음이 자라서 어른스럽게 됨’. 숙성은 ‘충분이 이루어짐, 효소나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발효된 것이 잘 익음’.
성숙한 여자 몸이라면 맞고 숙성한 여자 몸은 틀리다. 여자 몸과 발효된 김치는 생판 다른 차원이지. 성숙은 현재진행형 뉘앙스를 풍기지만 숙성, 하면 이제부터 내리막길이라는 냄새를 풍긴다. 갓김치가 신김치로 변할 때 일어나는 감각적 변동이나 다름없다.
미 영화 등급분류에 나오는 ‘Rated-R’은 우리의 ‘청소년관람불가’에 해당한다. ‘Mature Audience only’라는 용어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성숙한 관람객) 청소년보호법에 따라서 19세 이하는 영화관람을 하지 말라는, 소위 19禁이다.
19살 미만은 성인이 아니라는 사연이다. 성인물(成人物, 포르노영화)은 공로훈장이 아니라 부끄러운 비밀인 것을.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은 주야장천 미성년(未成年)이라는 꼬리표 때문에 사람취급을 제대로 받지 못한다.
1985년부터 1992년까지 7년에 걸쳐 방영됐던 ‘Growing Pains’이라는 미TV 시트콤이 떠오른다. 정신과의사가 중심이 되어 그의 네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아픔과 갈등을 다룬 드라마 시리즈다. 끝 시즌쯤 당시 16살의 레오나르도 디캐프리오가 떠돌이 소년으로 등장하여 그들 가정에 머무는 대목이 나온다. 정신과의사가 자신의 자식 뿐만 아니라 신원이 불확실한 불량배마저 품어주며 힘든 성숙의 계단을 밟아가는 영혼들을 알아주고 거들어주는 테마가 인상적이다.
마크 트웨인(Mark Twain: 1835~1910)의 “톰 소여의 모험(The Adventures of Tom Sawyer: 1876)”을 생각한다. 톰 소여는 미국적 모험정신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다. 엄격한 집안 규율이 싫어서 해적이 되기를 꿈꾸며 친구 허클베리 핀과 잭슨 섬으로 가출하는 12살 나이 미성년자 톰 소여.
해적이 되는 꿈을 접은 채 귀가하는 도중 그들이 익사한줄로 알고 동네사람들이 치르는 자신들의 장례식을 훔쳐보는 톰과 허클베리. 말썽꾸러기 자신들을 품위 있고 매력 있는 사람으로 목사가 칭송하는 장면에서 그들은 가슴 뻐근한 감명을 받는다.
고금동서를 막론하고 어떤 성인(成人)도 자신과 미성년자들을 위한 정답을 가지고 있지 않다. 성인은 다만 허울 좋은 호칭일 뿐. 미완성 상태가 개선의 여지를 촉구하는 동력이 되는 사실을 나는 굳게 믿는다. 기성체제에 맞서는 미숙함에서 많은 깨달음을 스스로 터득하는 톰 소여의 모험심을 닮고 싶은 소망이 불쑥 솟는다. 당신은 어떤가.
ⓒ 서 량 2024.09.15
뉴욕 중앙일보 2024년 9월 18일 서량의 고정 칼럼 <잠망경>에 게재
https://news.koreadaily.com/2024/09/17/society/opinion/20240917180213698.html
'뉴욕중앙일보 컬럼, 잠망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럼| 478. 혼동 (0) | 2024.10.15 |
---|---|
|컬럼| 477. 경우 (0) | 2024.09.30 |
|컬럼| 475. 욕 (0) | 2024.09.02 |
|컬럼| 19. 우리집 옆집 도둑괭이가 (1) | 2024.08.23 |
|컬럼| 474. 과거애착증 (0) | 2024.08.19 |